-
1. 주거급여란? – 기본 개념과 목적🏠
먼저, 주거급여가 뭘까요?
쉽게 말해 정부가 집세 부담이 큰 저소득층에게 ‘주거비용’을 지원해 주는 복지 제도예요.
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안정적인 ‘집’에서 편안하게 살 권리가 있잖아요?
하지만 현실은 집세나 관리비 때문에 생활이 팍팍해지는 분들이 많죠.
그런 분들을 위해 정부가 월세, 전세 비용이나 집 수리비 일부를 지원해 주는 거예요.특히 월세가 부담되는 분들, 오래된 집에 살면서 수리비가 걱정되는 분들에게 큰 힘이 되는 제도랍니다.
2. 주거급여 지원 대상 – 누가 받을 수 있을까?👥
“내가 과연 주거급여받을 수 있을까?” 가장 궁금한 부분이죠!
주거급여는 크게 세 가지 기준으로 지원 대상자를 가려요.첫째, 소득 기준
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.
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인데, 그 48% 이하이면 주거급여 대상이 될 수 있어요.둘째, 재산 기준
집, 토지, 자동차 등 재산도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해요.
예를 들어, 부동산이나 자동차가 너무 많으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답니다.셋째, 수급자 자격
‘생계급여’ 또는 ‘의료급여’를 받는 분들은 자동으로 지원 대상이 되기도 해요.
즉, 소득과 재산이 적고, 주거비 부담이 큰 저소득층이 지원 대상이라고 보면 됩니다.
1️⃣ 지원 대상
- 소득·재산 기준
- 신청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인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2025년 기준(월 기준 중위소득 48%)
- 1인 가구 → 1,148,166원
- 2인 가구 → 1,887,676원
- 3인 가구 → 2,412,169원
- 4인 가구 → 2,926,931원
- 5인 가구 → 3,411,932원
- 6인 가구 → 3,871,106원
- 2025년 기준(월 기준 중위소득 48%)
- 신청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인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부양의무자의 유무와 관계없음
- 가구 내부 기준만 적용하며, 부양의무자의 소득·재산과는 상관없이 지원이 가능합니다
2️⃣ 소득인정액 산정 방식
-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- 소득평가액: 실제 소득(근로·사업·연금 등)에서 공제 후 산정
- 재산의 소득환산액: 부동산·자동차·금융자산 등을 '소득'으로 환산하여 계산
3️⃣ 임차가구 (월세·전세) 지원 대상
-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:
-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% 이하
- 실제 임대차 계약을 했고, 월세(전세 포함)를 지불 중인 가구
- 임차가구에 해당하며, 1촌 직계존속·그 배우자와 체결된 계약은 제외
4️⃣ 자가가구 (자가 거주) 수리비 지원 대상
- 자가가구는 소득인정액 기준(중위 48%) 이하이고,
- 주택 노후 상태(구조·설비 등)에 따라
- 경·중·대 수리 범위로 나뉘며 각 수리비 지원이 달라집니다.
📌 2025년 수선비용 기준
수리 수준비용 한도수선 주기경보수 5.9백만 원 3년 중보수 10.95백만 원 5년 대보수 16.01백만 원 7년 - 지원 비율은 소득 수준에 따라:
- 생계급여 이하: 최대 100%
- 중위소득 40% 이하: 90%
- 그 초과∼48% 이하: 80% 지원
5️⃣ 청년가구원 별도 지급
- 19~30세 미혼 자녀가 가구와 따로 거주하면,
이 청년은 본가와 별도 임차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
6️⃣ 결론 정리
- ✅ 지원 대상 =
- “소득인정액 ≤ 기준 중위소득 48%”이며
- 임차가구는 실제 임대차 계약 + 임차료 납부
- 자가가구는 주택 노후도에 따른 수리 필요
- ✅ 부양의무자 기준은 폐지되어 신청 가구 기준만 따릅니다
- ✅ 청년가구원은 별도 지급 대상에 포함됩니다
3. 주거급여 지원 내용💰
주거급여 지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.
① 임차가구 지원
월세나 전세로 집을 빌려 사는 가구에게는 임차료(월세)를 지원해 줍니다.
지원 금액은 가구의 소득, 임대료 수준, 지역 등에 따라 다르지만, 월 최대 30~40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어요.예를 들어, 월세가 50만 원인 집에서 살고 있고, 소득 기준에 부합하면 그중 일부를 정부가 지원해 주는 거죠.
② 자가가구 지원
자가가구, 즉 자기 집에서 사는 분들은 ‘주택 수리비’를 받을 수 있어요.
노후하거나 고장 난 시설(예: 부엌, 화장실, 지붕 등)을 고치는 비용을 일부 지원해 줍니다.
단, 지원 금액 한도가 정해져 있으니 참고하세요.이처럼 임차가구와 자가가구 모두 각자의 상황에 맞는 지원을 받을 수 있답니다.
4. 주거급여 신청 방법📝
이제 “어떻게 신청하지?” 궁금하시죠?
① 온라인 신청
복지로 사이트(https://www.bokjiro.go.kr)나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요.
집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쉽게 신청 가능하니 바쁜 분들에게 딱이죠!② 오프라인 신청
가까운 주민센터나 읍면동사무소에 직접 방문해 신청할 수도 있어요.
직접 방문하면 직원분이 친절하게 절차를 안내해 주시니 걱정하지 마세요.'복지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주거급여 지원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– 복지로 완벽 가이드 (0) 2025.07.19 의료급여 대상자라면 꼭 알아야 할 임신·출산 지원제도 (0) 2025.07.18 과학문화바우처란? 과학을 더 가까이, 더 재미있게! (0) 2025.07.17 2025년 해산급여 완전정복! 기초생활수급자라면 꼭 신청하세요 (1) 2025.07.16 초중고 교육비 지원 100% 활용법📚 2025년 신청 꿀팁 A to Z (0) 2025.07.15 - 소득·재산 기준